|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Korean J Pancreas Biliary Tract > Volume 5(1):2000 > Article
The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2000;5(1):7-12.
종양 혈관: 악성 담도 협착의 특징적 담도경적 소견
김홍자2, 김명환1, 이성구1, 유교상1, 서동완1, 민영일1
1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소화기내과
2관동대학교 의과대학 명지병원 소화기내과
Tumor Vessel: a Valuable Cholangioscopic Clue of Malignant Biliary Stricture
Hong-Ja Kim2, Myung-Hwan Kim1, Sung-Koo Lee1, Kyo-Sang Yoo1, Dong-Wan Seo1, Young-Il Min1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2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Myongji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Kwandong University, Koyang, Korea
Corresponding author:  Myung-Hwan Kim, Tel: 82-2-2224-3180, Fax: 82-2-476-0824, 
Email: mhkim @www. amc.seoul.kr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종양 혈관은 불규착하게 증식된 사행성의 혈관 조직으로 악성 담도 질환의 특정적인 담도경적 소견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양성 및 악성 담도 협착의 감별에 있어 종양 혈관의 유용성을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 및 방법: 1997년 8월부터 1998년 8월까지 내시경적 췌담관 조영술 또는 경피적 담도 조영술로 진단된 63명의 담도협착 환자를 대상으로하였다. 담도 협착은 종양 혈관의 유무에 따라 악성 및 양성 협착으로 분류하였고 이 결과는 담도경하 조직 검사 및 수술적 최종 진단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41명의 환자가 악성 담도 협착으로, 22명의 환자가 양성 담도 협착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담도 경하 조직 생검은 악성 질환자의 80.4% (33/41)에서 양성 소견을 보였고 종양혈관은 61% (25/41)의 악성 담도협착에서 관찰되었다. 그러나 양성협착의 경우 종양 혈관이 관찰된 예는 1예도 없었다. 위음성의 조직 생검 소견을 보인 8명의 환자중 6예에서 종양 혈관이 관찰되어 조직 생검 소견과 종양혈관 관찰을 병합시 술전 악성 질환의 진단율은 조직 생검 또는 종양 혈관 관찰 단독시 보다 96% (39/41)로 향상되었다(p<0.05). 결론: 종양 혈관의 존재는 악성 담도 협착의 특징적인 담도경적 소견으로서, 담도 경하 조직 생검 결과와 병합시 술전 악성 질환의 진단율을 의미있게 증가시킬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핵심 단어: 종양혈관, 악성 담도 협착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1,470
View
7
Download
Differential Diagnosis of Benign and Malignant Biliary Strictures  2003 September;8(2)
Editorial Office
Korean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723 Le Meilleur Jongro Town, Jongro19, Jongro-gu, Seoul 03157, Korea
Tel: +82-2-2285-5145 Fax: +82-2-2285-5146   E-mail: ercp@kams.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24 by Korean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